반응형

 

 

금 시세따른 대한민국 내 세금 납부 가이드

금가격이 높아진 이때 보유하고 있던 금을 판매할 시 나오는 세금비율 과 종류 그리고 절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.

 

1. 금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 종류

 

대한민국에서 금을 거래할 때 부과되는 주요 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

 

  • 부가가치세 (VAT): 금을 구입할 때 부과되며, 현물 금은 면세지만 세공된 금이나 장신구는 10%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됩니다.
  • 양도소득세: 금을 매각할 때 차익이 발생하면 부과되며,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과세됩니다.
  • 기타소득세: 비정기적인 금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부과됩니다.

 

2. 부가가치세 적용 기준

 

부가가치세 부과 여부는 금의 형태에 따라 다릅니다

 

면세 대상: 순도 99.99% 이상의 금괴 (투자용)

과세 대상: 금 장신구, 가공된 금 제품, 골드바(순도 99.9% 이하) - 부가가치세 10%

부가가치세는 구매 시점에서 판매자가 징수하며, 일반 소비자는 최종 금액에 포함된 부가가치세를 납부하게 됩니다.

 

3. 양도소득세 적용 기준

 

금 매각 시 발생하는 양도 차익에 따라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. 개인과 법인의 과세 기준이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주요 과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

 

  • 면세 기준: 개인이 장기 보유한 금괴는 면세 (99.99% 이상 투자용 금에 한함).
  • 과세 기준:
    • 1년 내 단기 매매 시: 양도 차익의 20% (5억 원 초과 시 30%)
    • 1년 초과 장기 보유 시: 양도 차익의 10% (3억 원 이하 시 비과세 가능)

4. 금 거래 시 세금 신고 방법

 

금 거래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면 아래와 같은 절차로 신고해야 합니다

 

  1.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양도소득세 및 기타소득세 신고
  2. 거래명세서, 매입·매출 증빙자료 준비 및 제출
  3. 양도일 기준 다음 해 5월 31일까지 신고 및 납부
  4. 연말정산 시 금 거래 내역 확인 및 추가 납부 여부 검토

미신고 시 가산세(최대 40%)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신고가 필요합니다.

 

5. 유의 사항 및 절세 방법

 

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음을 고려하세요

 

  • 장기 보유 시 양도소득세 면제 가능 (일정 기준 충족 시).
  • 순도 99.99% 금괴로 투자 시 부가가치세 면제.
  • 부부 공동 명의로 보유 시 양도소득세 절세 가능.
  • 세무사와의 상담을 통해 합법적 절세 전략 수립.
  • 연간 250만 원 이하의 비과세 한도를 활용한 소규모 거래.

 

반응형
블로그 이미지

소중한일상

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 및 취미,지식등 공유하는 곳입니다.

,